꿈을 이루는 사람들의 뇌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
“간절히 바라면 이루어진다.”
전 세계 수천만 명이 읽은 『시크릿(The Secret)』 이후, ‘끌어당김의 법칙(Law of Attraction)’은 꿈을 이뤄주는 마법 같은 법칙으로 알려졌습니다.
그리고 국내에선 이자성 작가의 공식처럼 유명한 말, r(reality) = v(vivid) × d(dream) ("생생하게 꿈꾸면 이루어진다")라는 표현도 회자되었죠.
하지만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이런 이론이 “비과학적이다”라는 비판도 많습니다. 정말 간절히 바란다고 우주가 원하는 걸 내려줄까요?
🧠 과학적 해석: RAS가 관여한다
끌어당김의 법칙을 진짜로 이해하려면,
‘우주의 기운’이 아니라 뇌의 필터링 시스템,
즉 망상 활성계(RAS:Reticular Activating System)를 봐야 합니다.
망상 활성계는 우리가 뇌에 들어오는 수많은 정보 중
‘중요하다고 인식한 것만’ 걸러서 보여주는 시스템이에요.
예를 들어,
- 내가 차를 바꾸려는 순간 도로엔 같은 모델의 차가 눈에 띄고
- 임신을 하면 갑자기 길에 임산부가 많이 보이는 것 같은 현상
이건 실제로 그런 대상이 갑자기 늘어난 게 아니라,
내 뇌가 그것을 ‘중요한 정보’로 인식해서 더 잘 보이게 된 것이에요.
🌱 간절함은 '뇌의 안테나'를 세운다
꿈을 구체적으로 그리고 간절히 원할수록,
그에 관한 단서, 기회, 연결이 뇌에 더 잘 들어오게 됩니다.
예를 들어 “나는 언젠가 뉴욕에서 강연하고 싶다”는 꿈을 가진 사람이
- 평소엔 무심코 넘겼을 뉴욕 관련 이벤트에 관심을 갖게 되고
- 지인과 대화 중 “그런 일 한다던데?”라는 연결이 실제 기회로 이어지기도 하죠.
즉, 끌어당김은 우주의 선물이 아니라,
내가 나서서 기회를 인식하고 반응할 준비가 된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.
🧭 그리고 '말하는 순간', 연결이 시작된다
또 하나 중요한 사실.
우리는 꿈을 말하는 순간, 연결이 일어나기 시작합니다.
사람들은 생각보다 우리를 잘 도와주고 싶어 합니다.
“나 이런 거 해보고 싶어”라고 말했더니
“그거 아는 사람 있는데 소개해줄까?”라는 말, 들어본 적 있으시죠?
말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지만,
말하면 기회는 움직입니다.
✅ 정리하자면
- 끌어당김의 법칙은 과학적으로 보면 뇌의 망상 활성계가 작동하는 현상이다.
- 간절함과 선명함은 뇌의 안테나를 세운다.
- 꿈을 말하면 연결이 시작되고, 기회가 열린다.
- 하지만 기회를 잡아채는 건 오직 당신의 선택이다.
과학적으로 말하자면
꿈을 이루는 힘은 ‘우주’가 아니라,
당신의 의식과 말, 행동에서 시작됩니다.
'자기계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옵시디언, 천재들이 기억을 설계하는 법 (0) | 2025.04.06 |
---|---|
50대 이후, 막막한 당신에게 딱 하나 필요한 도구 – ChatGPT (1) | 2025.03.28 |
호구 되기 싫다면 기억하세요: 협력, 응징, 그리고 용서 (0) | 2025.03.21 |
생산성 2배 높이는 법! 『하이 아웃풋 매니지먼트』 핵심 요약 (0) | 2025.03.19 |
직장인도 할 수 있는 N잡 15가지! 돈도 벌고 브랜딩도 하는 법 (1) | 2025.03.18 |